기록방
Github Organization 프로젝트 세팅하기 본문
프로젝트를 Github Organization에서 진행하고 FE, BE 등 각 파트 별 리포지토리를 분리해서 관리하고자 한다.
프로젝트는 4명이서 약 3개월 진행하는 사이드 프로젝트이다.
리포지토리 하나로 관리해도 괜찮은 규모의 프로젝트지만, 협업 도구로 github의 PR과 이슈 등을 관리하고, CI/CD로 gitaction을 사용하기 위해 파트 별 리포지토리를 분리해야해서 Oragnization을 선택했다.
🔷 Organization 생성 및 초대
생성 및 초대는 어려운 내용이 아니므로 간략히 적는다.
github - [ Your oragnization ] - [ New organization ]
요금제, 이름, 대표 이메일, 개인/기업 여부 선택 등이 이루어진다.
🔷 권장 설정
첫 화면으로 권장되는 설정들 리스트가 나타난다.
회원초대 및 권한 설정, PR 생성해보기, Git Action 생성해보기 등 협업 툴의 기능을 둘러 볼 수 있도록 안내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초대 및 권한 설정 외에는 딱히 쓸모가 없었다. PR은 템플릿을 만들것이고, Git Action의 CI/CD는 추후에 진행 할 것이기 때문이다.
pull을 땡기지 않고서는 merge할 수 없다는 등의 protection rule을 설정하고 싶었는데, 적용하려면 유료 요금제를 신청해야 해서 포기했다.
🔷 Organization Overview README.md 설정하기
organization 메인 페이지의 우측 상단 팔로우 버튼 바로 아래를 보면, 설정 하면 좋다는 것들이 나타난다.
- organization 공개/비공개 설정
- create a README
- pin repositories
- hide the tasks we've suggested
1, 3번은 개인 github 리포지토리에도 있는 설정과 같다.
4번은 이전 권장 설정 목록을 가리는 기능이다.
여기서 중요한게 3번인데, organization은 리포지토리가 여러개여서 나중에 한 번에 볼 때 어떻게 정리 할까 궁금했다.
3번을 눌러 만들어보니 '[organization 이름]/.github'라는 특수한 리포지토리가 생성되었다.
생성된 리포지토리에 'profile' 폴더가 생기고, 그 안에 README.md 가 생성된다.
이 README는 해당 리포지토리에 들어올 때 보이는게 아닌, organization 메인 화면에 보이는 리드미를 꾸밀 수 있다.
다만, 이미지를 다른 폴더에 두고 상대경로로 했을때는,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오류가 있었다.
organization 리드미를 꾸민 모습이다.
'.github' 리포지토리에 회고 기록 및 대표 README.md 를 두기로 했고, 위의 리드미는 간략 소개와 대표 리드미 주소를 가리키도록 꾸몄다.
🔷 리포지토리 생성하기
여러 리포지토리를 생성하는데, 템플릿을 만들어 사용 할 수 있다.
이전 포스팅에 정리해두었다.
🔷 Organization 프로젝트 생성하기
organization의 상위 탭에서 Projects를 들어간다. [ New project ]를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생성 후 Item 을 2개 생성했고, 컬럼 속성인 Status 에 Bug를 추가한 모습이다.
지금은 이슈가 아닌 Item만 생성되어있는데, Issue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Todo에 들어갈 것이다.
이상으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organization 설정을 모두 마쳤다!
하나하나 찾아가면서 하다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걸렸던 것 같다.
하지만 github의 협업툴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수 있게된 것 같다.
'C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이슈, PR 템플릿 및 label 간단 복사 방법 (0) | 2023.11.28 |
---|---|
GIT - git의 원리 [생활코딩] (0) | 2021.05.28 |
GIT - 버전관리의 본질[생활코딩] (0) | 2021.05.26 |
GIT - GIT1 입구수업[생활코딩] (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