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ithub (4)
기록방
💡 다음 사진처럼 github 프로필에 3D 잔디를 만들어보자! 다음 포스팅을 참고했다. GIF까지 만들어두신 정성에 아주 쉽게 따라 할 수 있었다. 단, github action을 run 하는 부분에서 오류가 났는데, 그 부분에 대한 수정 사항을 추가로 작성한다. 3D잔디는 yoshi389111의 github-profile-3d-contrib 프로젝트로 깃헙에 공유되고 있다. https://github.com/yoshi389111/github-profile-3d-contrib#step-4-add-image-to-readmemd GitHub - yoshi389111/github-profile-3d-contrib: This GitHub Action creates a GitHub contribution ca..
프로젝트를 Github Organization에서 진행하고 FE, BE 등 각 파트 별 리포지토리를 분리해서 관리하고자 한다. 프로젝트는 4명이서 약 3개월 진행하는 사이드 프로젝트이다. 리포지토리 하나로 관리해도 괜찮은 규모의 프로젝트지만, 협업 도구로 github의 PR과 이슈 등을 관리하고, CI/CD로 gitaction을 사용하기 위해 파트 별 리포지토리를 분리해야해서 Oragnization을 선택했다. Organization 직접 보러 가기 🔷 Organization 생성 및 초대 생성 및 초대는 어려운 내용이 아니므로 간략히 적는다. github - [ Your oragnization ] - [ New organization ] 요금제, 이름, 대표 이메일, 개인/기업 여부 선택 등이 이루어진..
github에서 여러 리포지토리를 생성 할 때, 이슈/PR 템플릿 및 커스텀 label을 복사하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우선 임시 리포지토리를 하나 만들고 이슈/PR 템플릿 생성, label 수정을 진행하자 🔷 이슈 템플릿 생성 이슈 템플릿은 직접 리포지토리에 파일을 저장해두어야 하는데,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github가 도와준다. 수동으로 만드려면 리포지토리의 './github/ISSUE_TEMPLATE/' 디렉터리 하위로 'bug-report.md' 같은 마크다운 파일을 만들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Github Docs의 이슈 템플릿 설명을 참고하자. 여기서는 github가 제공해주는 양식에 따라 쉽게 만들자. 리포지토리의 setting - 바로 나오는 General에서 쭉 내려서 Featur..
단체에서 gitlab을 이용해 프로젝트를 개발하면 개인 포트폴리오로 링크를 걸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gitlab에서 github로 프로젝트를 옮기는 방법을 알아보자. 개발 commit 기록을 살려서 옮기는 방법이다. 1. gitlab의 프로젝트 원본을 복사한다. $ git clone --mirror [원본 레포지토리 경로] 2. 복사 한 폴더 안으로 들어간다 $ cd [원본 저장소 이름].git - 파일 이름 뒤에 '.git'이 붙는다. 3. github에 빈 레포지토리를 하나 만들고, 그 주소를 넣는다. $ git remote set-url --push origin [이동할 원격 레포지토리 주소] 4. push하면 완료. $ git push --mi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