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39)
기록방
● 설치 및 실습방법 [ windows에서 설치 ] https://git-scm.com 에서 깃 다운로드. 기본값은 바꿀게 딱히 없음. git bash실행.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리눅스나 유닉스 처럼 명령어로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게 됨) "git" 명렁어 쳐서 잘 설치되었나 확인해보기. ● 저장소 만들기 [ 프로젝트 파일 만들기 ] mkdir gitfth [ 프로젝트 디렉토리 들어가기 ] cd gitfth [ 현재 디렉토리를 git의 (버전) 저장소로 만들기 ] git init ● git이 관리할 대상으로 파일 등록 [ 파일 생성 ] vim f1.txt 'vim'이라는 에디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생성 'vim'은 명령어 시스템에서 대부분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어디서나 쓸 수 있다는 장점. 대신 사용이 어렵..
● GIT1 - 1. 수업소개 [ GIT이란? ] 버전관리시스템. 소스코드 외에도 문서관리에 사용해도 좋음. 리눅스 개발자들이 리눅스를 보다 잘 관리하기위해 만든게 시초. [ 지옥에서 온 GIT ] 버전관리시스템 없이 많은 파일들이 오고가면 지옥과 같아서... ● GIT1 - 2. GIT을 구경합시다! [ GIT의 3대 목적 ] 1. 버전관리 : version 2. 백업 : backup 3. 협업 : collaborate 뒤로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어려워짐. 하나하나 잘 익히고 넘어가야되고 필요한 기능만 쓰도록 하자. [ 이 수업 ] 사용하는 방법이아니라 GIT을 구경하고 체험하는 목적임. ● GIT1 - 3.1 GIT의 목적 1 - 버전관리 1 [ 버전관리 ] 일반적으로 작업을 하다가 전 작업으로 돌려..
데큐 : 스택과 큐가 합쳐진 형태로 앞 뒤 모두 입력과 출력이 가능하다. [ 기능 ] insertFront/Rear : 데큐 앞/뒤 데이터를 넣음 deleteFront/Rear : 데큐 앞/뒤 데이터를 꺼냄 peekFront/Rear : 데큐의 앞/뒤 데이터를 알림(엿봄) indexOf : 데큐에 특정 값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림 size : 데큐의 데이터 수 확인 clear : 데큐 비우기 isEmpty : 데큐가 비었는지 확인 isFull : 데큐가 가득 찼는지 확인 dump : 데큐의 모든 데이터 확인 [ python ] class Deque: def __init__(self): print('\n-- 데큐 프로그램 --') self.dq = [] self.max = 10 def i..
큐 :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 기능 ] enque : 큐에 데이터를 넣음 deque : 큐의 맨 앞 데이터를 꺼냄 peek(front) : 큐의 맨 앞 데이터를 알림(엿봄) indexOf : 큐에 특정 값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림 size : 큐의 데이터 수 확인 clear : 큐 비우기 isEmpty : 큐가 비었는지 확인 isFull : 큐가 가득 찼는지 확인 dump : 큐의 모든 데이터 확인 [ python ] class Queue: def __init__(self): print('\n-- 큐 프로그램 --') self.st = [] self.max = 1000 def enque(self, ..
스택 :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 기능 ] push : 스택에 데이터를 넣음 pop : 스택의 맨 위 데이터를 꺼냄 peek(top) : 스택의 맨 위 데이터를 알림(엿봄) indexOf : 스택에 특정 값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림 clear : 스택 비우기 size : 스택의 데이터 수를 확인 isEmpty : 스택이 비었는지 확인 isFull : 스택이 가득 찼는지 확인 dump : 스택의 모든 데이터 확인 [ python ]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print('\n-- 스택 프로그램 --') self.st = [] self.max = 1000 def pus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