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모두 보기 (514)
기록방

길벗 IT도서에서 주관하는 코딩 자율학습단 8기 : Spring Boot 파트에 참여한 기록입니다 [ 목록 ] 2.1 뷰 템플릿과 MVC 패턴2.1.1 뷰 템플릿이란뷰 템플릿(View Template)은 화면을 담당하는 기술로, 웹 페이지(View)를 하나의 틀(Template)로 만들고 변수를 삽입해 페이지를 보여줌머스테치(Mustache)가 바로 뷰 만드는 뷰 템플릿 도구2.1.2 MVC 패턴뷰(View) : 뷰 템플릿컨트롤러(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 이를 처리하는 역할모델(Model) :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MVC 패턴(Model-View-Controller Pattern) : 웹 페이지를 화면에 보여주고(View),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Control..

👉 문제링크 13172번: Σ 모듈러가 11에서 1,000,000,007이 되어 답이 달라졌지만, 역시 3을 곱한 다음 1,000,000,007으로 나눈 나머지는 7이 된다. www.acmicpc.net 🔸 문제 분석 🔸 주사위 M개에 대해 i번째 주사위의 면 개수는 Ni, 면의 모든 값의 총합은 Si로 입력된다. 모든 주사위를 던졌을 때의 기대값을 계산한다. S1/N1 + S2/N2 + ... + SM/NM 계산의 어려움 때문에 임의의 분수 a / b를 모듈러를 이용해 (a * b-1 mod x)의 정수 값으로 계산한다. 🔸 문제 풀이 🔸 문제의 수학 이론 설명이 꽤 길지만, 읽어보면 이해 못할 정도는 아니다. 보다 정확한 확률 계산을 위해 모듈러 표현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문제에서 제시된 공식을..

👉 문제링크 11054번: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수열 A를 이루고 있는 Ai가 주어진다. (1 ≤ N ≤ 1,000, 1 ≤ Ai ≤ 1,000) www.acmicpc.net 🔸 문제 분석 🔸 중간 원소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후 내림차순이 이어지는 수열을 바이토닉 수열이라고 한다. 주어지는 수열의 부분 수열 중 가장 긴 바이토닉 수열의 길이를 출력한다. 🔸 문제 풀이 🔸 각 인덱스 별로 가장 긴 오름차순 수열과 가장 긴 내림차순 수열의 길이를 따로 구해 저장한다. 같은 인덱스의 두 값의 합 중 최대값을 출력한다. 🔸 코드 🔸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

EC2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고, 기존의 키페어와 탄력적 IP는 그대로 사용하고자 했다. 하지만, vscode에서 SSH 원격 접속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났다. 처음엔 키페어를 그대로 쓰면 안되는 건 줄 알고, 새로 생성했지만 오류는 그대로였다. 알아보니, 접속 IP는 동일하지만, 원격 호스트 ID가 변경되어서 발생한 경고성 오류였다. SSH 접속 시, RSA 공유키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에러라고 한다. 해결을 위해 아무 폴더에서 git bash를 열어서 다음과 같이 .ssh/known_hosts을 초기화 시키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known_hosts 파일 자체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ssh-keygen -R xx.xx.xx.xx(접속 대상 서버의 IP) 입력 후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타나..
🧨 t3.large 에서 t2.micro으로 인스턴스를 변경했다. 요금 폭탄을 맞고 인스턴스 유형을 변경했다. 한동한 대기상태로 두다가 오랜만에 실행하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관리창 상단에 나타났다. The requested configuration is currently not supported. Please check the documentation for supported configurations. 찾아보니 현재 리전에서 실행시킬 수 없는 인스턴스 유형이어서 나타나는 오류라고 한다. 뭐가 문제이고 하니, t3large같은 고사양 인스턴스는 서울의 ap-northeast-2b 가용영역에서 지원하고, 변경한 프리티어 인스턴스인 t2.micro는 ap-northeast-2a 나 ap-north..